2014. 7. 4. 11:54ㆍ좋은글·名言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
- 우리 삶에 가는 곳마다 (숨어 있는) 고수가 있다.-
무협 영화나 무협지를 보면 '무림(武林)의 강호' '고수' 등의 말이 자주 언급된다. 내용이야 모두 다르지만 한 가지 똑같은 흐름이 있다. 부모나 연인의 복수를 위해 무림의 최고 고수를 찾아가는 것은 꼭 나오는 수순이다. 결국 무림의 고수에게 무공(武功)을 전수받아야 스승을 뛰어넘는 최고의 무림 고수가 될 수 있고 비로소 복수도 가능하다는 얼개다.
독학으로 무공을 쌓을 수도 있겠지만 혼자 하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 시간은 빠르게 지나가고,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기 때문에 이런 노력은 미련한 도전이요 계획이기 쉽다.무협의 주인공이 그랬던 것처럼 눈을 크게 뜨고 고수를 발견하고, 마음을 열고 고수를 찾아가는 것에서 우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인생도처유상수(人生到處有上手)'라는 말이 있다. '우리 삶에 가는 곳마다 (숨어 있는) 고수가 있다'는 뜻으로 유홍준 교수가 지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제6권의 부제이기도 하다. 옛 시인의 시구(詩句)인 '인생도처유청산(人生到處有靑山)'에서 원용한 것으로 세상 곳곳에 존재하는 이름 없는 고수들에 대한 경이로움을 표현한 것이다.우리는 삶의 도처에서 숨은 고수들을 예기치 않게 만나게 되고, 그들을 통해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과거처럼 고수는 깊은 산 속에 있지 않다. 우리 생활 곳곳에서 각 분야의 고수가 존재한다. 우리가 마음의 눈을 열고 보면 우리를 도와줄 고수들이 주변에 즐비하다. 다만 우리가 그들을 인정하지 않고 발견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화가 피카소가 유명해지자 중년 부인이 찾아와 초상화를 그려달라고 했다. 피카소는 초상화를 5분 만에 그려줬다. 스스로 자신이 미술 분야의 고수라고 믿었던 그 중년 부인은 성의 없어 보이는 피카소에게 돈을 조금밖에 줄 수 없다고 했다. 그러자 피카소는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의 초상화를 5분 만에 그리기 위해 나는 30년 동안 그림을 그려왔습니다."
물리적인 시간과 눈에 보이는 노력을 기준으로 삼는 하수의 평가로는 절대 고수를 알아보지 못한다. 자기가 아는 만큼 보이고 그만큼만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우리는 스스로의 아집과 독단이라는 콩깍지에 씌어 주위의 고수들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못한다. 때로는 지독한 냉소주의로 모든 걸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운·학벌·배경이 좋아서 그렇다느니 또는 줄을 잘 타서라느니 온갖 이유를 들어 고수를 폄하하기 바쁘다.
하지만 고수(高手)는 돈·권력·명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경험·노력의 산물이다. 감동받지 못하는 사람은 감동적인 작품을 만들어내지 못하듯이 고수를 인정하지 않으면 고수의 경지에 오를 수 없다.지금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과 아이디어, 도처에 존재하는 고수들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현명함이 필요한 시대다.
열심히 하는 것보다 잘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이며, 발명이 아닌 발견의 시대다. 네트워크도, 인터넷도, SNS도 모두 다 '스마트'하게 열려 있다.
'상수(上手 - 高手)' 또한 열려 있다. 당신이 마음먹기에 따라 그 상수(上手 - 高手)는 내 편이 될 수도, 상대편이 될 수도 있다.
21세기 영어교육연구회(21st C.E.T.A.) 회장 정승남
이메일 : ceta21@hanmail.net
블로그 : http://blog.daum.net/ceta21
카 페 : http://cafe.daum.net/21ceta
'좋은글·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나는 누군가에게 행복을 주는 사람인가 (0) | 2014.08.20 |
---|---|
[스크랩] 오묘한 인연. (0) | 2014.07.22 |
[스크랩] 좋을글 모음 (0) | 2014.05.31 |
[스크랩] 3가지 병신과 3가지 바보 (0) | 2014.03.20 |
[스크랩] 명품인지 진품인지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