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64)
-
"김어준 총수의 탄핵 order"
방송인 김어준이 자신에 유투브 방송"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에 민주당 초선의원 6명을 출현시켜 "헌법재판관도 탄핵해라" 라는 취지에 얘기를 하여 논란이다. 대통령 탄핵결론재판을 불과 코앞에 두고 한 말이다.이에 민주당 초선의원 6명들은 잘 새겨듣겠다고 했다.헌법이 국회에 탄핵소추권과 입법권을 주었으니탄핵소추권과 입법권은 국무위원 전원을 날리게 되면 안된다는게 없다면서 대행을 할 수 있는 국무위원 전원을 탄핵하는 방안을 연구해야 되지않느냐,고 초선의원들을 다그쳤다.또한, 헌법재판관들도 탄핵하지 말라고 헌법에 쓰여있지 않으니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취지다.일개 유투브 방송인이 의원들을 불러놓고 질책하는듯한어조로 다그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나친 탄핵남발, 머지않아 국민까지 탄핵하지 않을런지 모른다.김어준, 그..
08:48:01 -
*덧없고 無常한 것이 人生이다*
人生無常이란,"人生에서 항상 늘 그러한 것은 없다."라는 뜻이다.인생이 유상 한 것으로 알고 사는 우둔함을 깨치게 하고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사실을 일깨우는 말이다.人生의 모든 것은 변하고 늘 그러한 것은 存在하지 않는다.특정현상과 상황이 잠시 존재할뿐, 변하지 않는 실체란 없다.태어나고 늙고 病들고 죽음에 이르는 生老病死,유구한 人類史의 피할 수 없는 宿命이다.人生이란, 잠시 일어나는 바람처럼,짧은 순간 존재하다가 흩어지고 사라지는 것,그것이 덧없는 人生의 無常아닌가?淸州joon
2025.04.02 -
*春日 斷想*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5.04.02 -
"이재명과 惡化된 民心"
더불어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경북 영양 화재 이재민대피소,화재 피해현황을 알기 위해 그곳을 들렸다.이 과정에서 한 남성이 휘두른 겉옷으로 얼굴을 맞았고,경북 청송화재 현장, 그곳에서도 항의 봉변을 당했다.내란사태를 알고있는 피해민들의 악화된 민심이다...............................................................................................지난 2021년 12월 건설사 개인 사무실에서 사망한채 발견된故김문기는 이재명 성남시장시절 성남도시개발공사 1처장으로이재명이 경기지사 당선이후 대장동 개발 관련 총괄업무를 담당,했었기 때문에 대장동 사건이 재판에 넘겨지고 그 과정에서이재명과 전화통화를 가장 많이했던 인물이다."성남의 뜰"이 민..
2025.04.01 -
*沈默(침묵)은 言語의 不在가 아니다.*
남을 근거없이 中像謨略하는 짓은 殺人행위와 같다.언뜻 보기에는 正義로워 보이지만 사실은 상대방의 존엄성을 해치고지위를 손상시키려는 사악한 의도가 숨어있다.상대가 조금이라도 잘되나 싶으면 惡意的으로 깎아내리고 폄훼하지만사실은 제 自身에 正體性만 의심받고 犯罪性의 실체만 드러날 뿐이다.그런 人間들의 대부분은 제 자신은 돌아보지 않고 남 모함하길 즐기지만스스로의 무지함을 모르니, 우둔하고 어리석어 무식하니 용감할 뿐이다.邪惡한 영혼으로 狂亂의 犯罪행위를 벌이거나 그에 가세하는 일은,감내하지 못할 天罰로 귀결될 뿐이다. 범죄부역자로 남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짓은 흉악범죄고 社會惡이다.치욕적 原罪을 덮기위한 羅刹女의 발악, 패륜犯罪로의 처절한 패악질,使嗾받은 시정잡배들의 휭포가 極에 달했어도, 기회주의자로 변신하여..
2025.03.31 -
"이재명의 司法 risk"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사건 3심을 검찰이 대법원에 상고하자민주당 일각에선 국민투표로 대통령을 탄핵시키자는 헌법재판소 패싱론까지 들고 나오고 있다.헌법재판소를 passing하자는 이유가 대통령을 파면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국회가 패싱할 개헌법안을 내 대통령을 탄핵하고 국무위원 전원을 탄핵,정부를 무력화 시킨후 국회의장이 국정을 운영한다는 황당한 주장까지나오는 더불어 민주당 국회의원들이다. 검찰이 즉각 공직선거법 3심을 대법원에 상고함에 따라 어떻게든 그전에,조기대선을 치르려는 속셈이다.아무리 조급해도 헌재를 패싱하고 대통령을 끌어내려 정부를 장악한다는매우 위험천만한 발상이라는 지적까지 나온다.만약 헌재가 대통령탄핵소추안이 각하 또는 기각될 경우 조기대선이 열리지 않게 될 경우 이재명의 공직선거법 3..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