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on1008
2012. 11. 12. 13:50
아름다운
우주
( 하단 표시하기 크릭
)
참으로 아름다운 우주
우리가 사는 이 우주는 참 크다고
한다.
화성 등에 비해서는
지구(Earth)가 조금 큰 편이다. 우리가 학교에서
익히 배운대로 말이다.
햐 ~~ 이거 목성(Jupiter) 크기만 해도 지구에 비해 어마어마하게
크다. 이걸 보니 이 태양계에서도 지구는 무지하게 작은 별인 건 틀림없는 것
같다.
그런데..............
태양계의 중심인 태양(Sun)을 중심으로 놓고보면 이거야 말로,
지구는 정말 작다고 표현하는 것 외에 다른 말이 안 떠 오른다..
지구에 비해 직경이
109배, 부피는 130만배, 질량은 38만배 (33만배라고 하기도 함) 의 위용을
자랑한다.
허블 망원경으로 바라 본
별, 시리우스 위 그림에서 보이는 아르크투루스(Arcturus) 는 대각성(大角星)이라고 불리며, 별자리
목동자리의 가장 대표적인 별이다.
이젠 이거 갈 수록 태산이다. 시리우스도 크다고 했더니,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입이 안
다물어진다.
베텔제우스(Betelgeuse)는 태양(Sun)에 비해 직경으로 약 1000 배의 크기라고
한다.
도대체 별의 크기는 한도 끝도 없는 걸까?
ㅎㅎ
드디어 마지막 별을 소개할 순서가
되었다.
우리 인간이 발견한 이 우주에서 가장 크다고 인정받는 별은
다름아닌 VY Canis
Majoris 라고 하는 별이다. 크기는 태양과 비교해서 자그마치 약 2100 배의 직경을 가진다고
한다.
이거 새해 벽두부터 희망찬
미래를 보여줘야 하는데, 이 광대한 우주에 기가 질려버리는 포스팅을 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 아니, 이렇게 광대한 우주만큼 우리의 미래도 활짝
열려있는 것이라고 믿고 싶은 마음일 것이다.
<kic3629-황혼의 난원
운영자 메일>
★ 衛星이 잡은 멋진 宇宙 그래픽 ★










































우리가 사는 이
지구가 우주 전체를 놓고 볼 때
먼지보다도 작은
별이군요.
이런 지구에
살면서 우리는 태양을 품는 꿈을 안고 살아가지요.
이 조그마한
행성에서 존재하는 생명은
순간적이겠지요.
그래요 인생은 찰라 입니다.
서로를 격려하며
알콩달콩 살아가요-이룻-
| | | |
출처 : 남촌사랑방
메모 :